본문 바로가기

잡정보

지진피해, 지진 단계, 지진 건축법, 지진 대처법

반응형

 

지진의 종류

지진은 여러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 원인과 특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됩니다. 주요 지진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각판 경계 지진 (Interplate Earthquakes): 이 유형의 지진은 지각판이 서로 충돌하거나 분리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지진은 대부분 지구의 주요 지진 활동 지역인 지각판 경계 주변에서 발생합니다.
  2. 인접 플레이트 내부의 지진 (Intraplate Earthquakes): 이러한 지진은 단일 지각판 내부에서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지진이 발생하는 지각판 경계와 달리, 이 지진은 플레이트 내부에서 발생하며 종종 더 깊이 위치합니다.
  3. 화산성 지진 (Volcanic Earthquakes): 화산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진으로, 화산 폭발이나 마그마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4. 지진의 특성에 따른 분류:
    • 조정 지진 (Tectonic Earthquakes): 지각 플레이트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진으로,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 인공 지진 (Induced Earthquakes): 인간의 활동에 의해 유발되는 지진으로, 대부분 지하수 추출, 지하 탄광 개발, 지하 저장소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 휘발성 지진 (Volcanic Earthquakes): 화산 활동과 관련된 지진입니다.
    • 지진 (Collapse Earthquakes): 지하 동굴이나 광산 등의 구조적 붕괴로 인한 지진입니다.

 

 

지진의 단계 및 증상

지진은 다양한 규모와 강도로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단계와 증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진은 다음과 같은 단계와 증상을 나타냅니다.

  1. 전조단계 (Foreshocks):
    • 주요 지진 발생 전에 가벼운 전조 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전조 지진은 대부분 주요 지진의 직전에 나타날 수도 있고, 그리고 주요 지진 후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발작단계 (Mainshock):
    • 발작단계는 지진의 주요 진동이 발생하는 단계입니다.
    • 발작은 여러 시간에서 몇 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흔히 지진의 가장 강력한 부분입니다.
  3. 여진단계 (Aftershocks):
    • 발작 후에 여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여진은 주요 지진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여진은 대부분 초기 발작의 강도보다 약하지만, 때로는 강도가 큰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0에서 10까지의 스케일로 나타냅니다. 이를테면

  • 2.0 미만: 대부분 사람들이 느끼지 못할 정도의 약한 지진
  • 2.0-3.0: 대부분의 사람들이 느낄 수 있지만 주로 경미한 피해만 발생하는 지진
  • 3.0-4.0: 주변에 가벼운 피해를 일으키는 지진
  • 4.0-5.0: 건물에 손상을 일으키는 지진
  • 5.0-6.0: 중간 정도의 피해를 일으키는 지진
  • 6.0-7.0: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강력한 지진
  • 7.0-8.0: 대부분의 건물이 피해를 입고, 심각한 파괴가 발생하는 지진
  • 8.0 이상: 대규모 재해를 일으키는 대지진
  •  

지진의 증상은 지진의 규모와 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진의 느껴지는 진동: 지진이 발생하면 땅이 진동하고 흔들릴 수 있습니다. 이 진동은 일반적으로 "흔들림"으로 느껴지지만 때로는 굉음과 함께 발생하기도 합니다.
  2. 건물의 흔들림: 건물이 흔들리고 흔들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물의 손상이나 붕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물체의 이동: 지진으로 인해 물체가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가구나 기타 물건의 이동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지형 변화: 일부 지진은 지형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산사태, 지표면의 균열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사람의 불안과 공포: 지진이 발생하면 사람들은 불안과 공포를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주요 지진이나 여진이 발생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습니다.

 

 

지진의 1차 피해 

지진은 매우 파괴적인 자연재해로, 그 영향은 지진의 규모, 깊이, 발생 위치, 지역의 인프라 및 건축물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합니다. 주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건물 및 인프라 파괴: 강력한 지진은 건물, 다리, 도로, 철도 및 다른 인프라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특히 건물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은 경우 붕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인명 피해: 지진은 사람들에게 상처, 부상 및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건물 붕괴, 산사태, 또는 기타 지진 관련 사건으로 인해 생명을 잃을 수 있습니다.
  3. 재산 손실: 지진은 주택, 상업 시설 및 기타 건물을 파괴하거나 훼손시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거대한 재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인프라 마비: 지진은 전력 공급, 수도 및 하수 처리 시스템, 통신 인프라 등의 인프라를 마비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재난 관리 및 복구 작업을 더 어렵게 만듭니다.
  5. 경제적 영향: 대규모 지진은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생산력 감소, 재해 복구 비용, 관광 업계의 손실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6. 사회적 영향: 지진은 사회적 불안, 불확실성, 정신적 스트레스, 사회적 분열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재난 후의 신속한 대응과 복구가 필요합니다.
  7. 환경 파괴: 지진은 지표면의 변화, 토양의 침식, 또는 화학 물질 유출과 같은 환경 파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진의 2차 피해 

지진은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다양한 2차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2차 피해는 지진 발생 후의 재난 관리 및 복구 과정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주요한 2차 피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산사태: 지진은 산악 지역에서 산사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토사, 돌과 같은 산사태 물질이 큰 손상과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지진해일: 지진은 해저 지질 조건의 변화로 인해 해수면에서 파도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진 해일은 해안 지역에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화재: 지진으로 인해 전기 및 가스 파이프가 파손되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물의 붕괴나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는 주변 건물 및 지역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4. 독성 물질 누출: 지진으로 인해 화학 공장이나 저장 시설에서 독성 물질이 누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 누출은 주변 지역의 환경 및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5. 정신적 스트레스 및 심리적 영향: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사람들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이나 친구들의 사망 또는 부상, 집과 재산의 손실은 심리적 충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6. 인프라 마비: 지진으로 인한 인프라 손상은 길을 포함한 교통 시스템의 마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응급 서비스와 구호 작업의 접근을 방해하고 피해 지역에 대한 지원을 어렵게 만듭니다.
  7. 경제적 영향: 지진으로 인한 2차 피해는 지역의 경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소비와 생산의 감소, 복구 비용 증가, 관광 업계의 피해 등이 포함됩니다.

 

 

지진 관련 대한민국 건축규정( 한국건축구조기준(KBC 2016))

한국건축구조기준(KBC 2016)은 대한민국에서 건축 구조 설계를 위한 기술적 지침과 요구사항을 제공하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이 기준은 건축물의 안전성, 사용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구조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KBC 2016은 특히 내진 설계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여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KBC 2016의 주요 특징 및 내용:

  1. 내진 설계 요구사항: KBC 2016은 지진 발생 시 건축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내진 설계 기준을 제시합니다. 이는 건축물이 지진으로 인한 큰 손상 없이 주요 구조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2. 구조적 안전 기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 및 하중 조합, 재료의 강도, 구조 시스템의 선정, 구조 해석 방법 등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3. 재료별 설계 기준: KBC 2016은 콘크리트, 강재, 목재 등 다양한 건축 재료에 대한 설계 기준을 포함합니다. 각 재료의 특성에 맞는 설계 방법과 안전 요구사항을 제시합니다.
  4. 화재 및 바람 하중에 대한 설계: 건축물이 화재나 강풍 등 다른 유형의 위험에도 견딜 수 있도록 관련 설계 기준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5. 구조 해석 및 모델링 요구사항: 현대 건축 구조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 해석 및 컴퓨터 모델링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는 설계의 정확성을 높이고, 복잡한 구조 시스템의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지진관련  국제 건축 규정

  1. 국제건축규정연합 (International Building Code, IBC)
    • IBC는 건축물의 설계 및 건설에 대한 국제적인 규정으로, 지진 위험도에 따른 건물 설계 기준을 포함합니다. 이 규정은 많은 국가에서 참조하거나 기반으로 삼아 자국의 건축 규정을 개발합니다.
  2. 유럽 지진규범 (Eurocode 8)
    • 유럽연합 내에서 적용되는 지진 설계에 관한 규범으로, 건축물과 기타 공학 구조물이 지진 행동을 적절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 기준을 제공합니다.
  3. 일본의 건축기준법 (Building Standard Law of Japan)
    •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국가 중 하나로, 엄격한 건축 규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정은 건물이 강한 지진에도 붕괴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요구합니다.
  4. 뉴질랜드 지진 설계 기준 (New Zealand Standards for Earthquake Engineering)
    • 뉴질랜드의 규정은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의 건축물이 큰 지진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 건설, 유지보수에 대한 자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지진 대처방안

개인 및 가정을 위한 준비

  1. 비상 준비물 준비하기
    • 생수, 비상 식량, 손전등, 배터리, 휴대용 라디오, 응급 처치 키트, 필수 약품 등의 비상 준비물을 준비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보관합니다.
  2. 가정 내 안전 점검
    • 무거운 가구를 벽에 고정하고, 무거운 물건은 낮은 곳에 보관하여 지진 발생 시 낙하로 인한 부상을 방지합니다.
  3. 비상 대피 계획 수립
    • 가족 구성원 모두가 알고 있는 비상 대피 계획을 수립하고, 정기적으로 연습합니다. 비상시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와 만날 장소를 정합니다.
  4.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 숙지
    • 지진이 발생했을 때 "덮고, 기대고, 붙잡고"의 원칙을 실천합니다. 강한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튼튼한 탁자 아래에 숨고, 머리를 보호하며, 움직이지 않습니다.

커뮤니티 및 지역 사회의 준비

  1. 지역 내 안전 점검 및 보강
    • 공공 건물, 학교, 병원 등의 건축물이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합니다.
  2. 지역 커뮤니티 비상 대응 훈련 실시
    • 지역 커뮤니티 차원에서 정기적인 비상 대응 훈련을 실시하여 주민들이 지진 발생 시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정보 공유 및 교육
    • 지역 주민들에게 지진 대비 정보와 행동 요령을 제공하고, 학교와 커뮤니티 센터에서 지진 대비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합니다.

정부 및 관련 기관의 역할

  1. 지진 위험도 분석 및 공유
    • 지진 위험도 분석을 통해 위험 지역을 파악하고, 이 정보를 공공에 공유하여 준비를 독려합니다.
  2. 건축 규정 및 기준 제정
    • 지진에 대비한 엄격한 건축 규정을 제정하고 시행하여, 신규 건축물 및 기존 건축물의 지진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3. 비상 대응 시스템 구축
    • 지진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비상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비상 사태 발생 시 효과적인 구조 및 복구 작업을 지원합니다.

 

 

세계 10대 지진피해

지진의 규모를 기준으로 한 "리히터 규모"와 각 지진의 특성을 포함하여 위에서 언급한 세계의 10대 지진을 다시 정리하겠습니다. 지진의 규모는 에너지 방출량을 나타내며, 사망자 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합니다. 일부 역사적 지진의 경우, 정확한 규모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가장 정확한 추정치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겠습니다.

  1. 1556년 중국 산시성 지진
    • 규모: 약 8.0 (추정)
    • 사망자 수: 약 830,000명
    • 비고: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지진으로 기록
  2. 1976년 중국 탕산 지진
    • 규모: 7.5
    • 사망자 수: 공식적으로 242,769명, 추정치는 더 높음
    • 비고: 중국의 산업 도시 탕산을 강타
  3. 2004년 인도양 지진 및 쓰나미
    • 규모: 9.1~9.3
    • 사망자 수: 230,000명 이상, 14개국에 걸쳐 피해
    • 비고: 강력한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가 주요 원인
  4. 1923년 일본 관동 대지진
    • 규모: 약 7.9
    • 사망자 수: 약 142,800명
    • 비고: 도쿄와 요코하마 지역을 파괴
  5. 2010년 아이티 지진
    • 규모: 7.0
    • 사망자 수: 약 160,000~316,000명 (추정치 다양)
    • 비고: 수도 포르토프랭스를 중심으로 큰 피해
  6. 2008년 중국 쓰촨 지진
    • 규모: 7.9
    • 사망자 수: 약 87,587명
    • 비고: 많은 학교 건물이 붕괴
  7. 2005년 파키스탄 카슈미르 지진
    • 규모: 7.6
    • 사망자 수: 73,000명 이상
    • 비고: 파키스탄과 인도 지역에 걸쳐 큰 피해
  8. 1908년 이탈리아 메시나 지진
    • 규모: 약 7.1
    • 사망자 수: 약 70,000~100,000명
    • 비고: 메시나 해협을 따라 발생한 지진과 쓰나미로 큰 피해
  9. 1970년 페루 안카쉬 지진
    • 규모: 7.9
    • 사망자 수: 약 67,000명
    • 비고: 강력한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가 주된 피해 원인
  10. 1138년 시리아 알레포 지진
    • 규모: 추정 불가
    • 사망자 수: 약 230,000명 (역사적 기록에 의존)
    • 비고: 중세 시대에 발생한 가장 치명적인 지진 중 하나
반응형